현대 심리치료와 상담이론, 인간관(기본가정)
1. 프로이트 <정신분석치료>
1) 심리적 결정론 : 인간의 모든 행동은 원인없이 일어나지 않는다.
2) 무의식에 대한 가정
3) 성적추동 : 인간의 가장 기본적 욕구이며 무의식의 주된 내용을 구성
4) 정신분석은 어린시절의 경험 중시 특히 부모와의 상호작용
2. 아들러 <개인심리학>
1) 인간은 목적지향적인 존재
2) 인간행동의 가장 기본적인 목적은 열등감 극복
3) 현실에 대한 주관적 인식을 강조하며 '무의식 < 의식'
4) 인간이 사회적 존재라는 점 강조
5) 인간을 통합적으로 움직이는 존재
3. <행동치료>
1) 개인의 특성을 관찰할 수 있는 구체적인 행동으로 분석하여 이해
2) 인간의 행동은 후천적으로 학습된 것
3) 부적응적인 문제 행동은 제거하거나 긍정적인 행동을 학습함으로써 내담자의 적응을 도움
4) 심리치료는 과학적 원리와 방법에 의해서 시행
4. 앨버트 앨리스 <합리적 정서행동치료>
1) 인간은 합리성과 비합리성의 양면적 본성을 지닌 존재
2) REBT는 적응적인 삶을 위해서 합리적 사고가 중요함을 강조
3) 건강한 감정과 건강하지 못한 감정을 구분
4) 바람과 당위적 요구를 구분
5) 인간의 세가지 심리적 기능 : 인지, 정서, 행동
5. 아론 벡 <인지치료>
1) 의식적인 경험 중시
2) 내담자의 자기보고 중시
3) 치료자와 내담자의 협동적 관계 중시 - 협동적 경험주의
6. 칼 로저스 <인간중심치료>
1) 긍정적인 인간관 - 인본주의 심리학의 기본축
2) 개인의 주관적인 경험과 인식을 중시하는 현상적인 입장 근거
3) 모든 유기체가 자신을 성장시키려는 자연적인 경향성 지님
4) 인간은 누구나 자기성장과 자기치유를 위한 충분한 자원 O
7. <실존적 심리치료>
1) 인간은 자기 인식 능력을 지닌 존재
2) 인간은 실존적 불안을 지니고 살아가는 존재 - 죽음, 고독, 무의미, 자유
3) 인간은 선택의 자유와 책임을 지닌 존재
4) 개인은 그만의 주관적 세계 속에서 이해
5) 인간은 삶의 의미와 목적을 추구하는 존재
8. 프리츠 펄스 <게슈탈트 치료>
1) 개인의 객관적 정보보다 주관적 체험을 중시
2) 실존철학 영향
9. 윌리엄 글래서 <현실치료>
1) 내담자 스스로 자신의 행복을 위해서 원하는 방향으로 변화하도록 돕는데 초점
2) 우리가 통제할 수 있는 유일한 인간은 나 자신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