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담심리학 공부하기/현대 이상심리학 (학지사)

[현대이상심리학] 조현병 스펙트럼 및 기타 정신병적 장애(2)

심리소녀 민코 2021. 7. 15. 09:00

  1. 조현양상장애

    1) DSM-5 진단기준
  • 다음 증상 중 둘(혹은 그 이상)이 1개월이 기간(성공적으로 치료가 되면 그 이하) 동안의 상당 부분의 시간에 존재하고, 이들 중 최소한 하나는 (1), (2) 혹은 (3) 이어야 한다.
    * 1. 망상 2. 환각 3. 와해된 언어 4. 극도로 와해된 또는 긴장성 행동 5. 음성증상
  • 장애의 삽화가 1개월 이상, 6개월 이내로 지속된다

    2) 핵심증상
    - 조현병으로 보이지만, 이들 중 일부는 잔류 증상 없이 완전히 회복됨
    - 보통 10대 후반 혹은 20대에서 30일에서 6개월 동안 증상을 가질 수 있음

 

2. 단기 정신병적 장애

 

        1) DSM-5 진단기준

  • 다음 증상 중 하나(혹은 그 이상)가 존재하고, 이들 중 최소한 하나는 (1), (2) 혹은 (3) 이어야 한다.
    * 1. 망상 2. 환각 3. 와해된 언어 4. 극도로 와해된 또는 긴장성 행동 5. 음성증상
  • 장애 삽화의 지속 기간이 최소 1일 이상 1개월 이내이며, 결국 병전 수준의 기능으로 완전히 복귀한다

    2) 핵심특징
  • 정신병적 증상이 최소 하루 동안 지속되고 한 달 안에 정상으로 돌아옴
  • 단기 정신병적 상태에 있는 경우, 격렬한 감정적 동요나 혼란 경험, 짧은 시간 동안 증상이 나타나나, 이 기간 동안에 개인의 적응기능이 심하게 손상될 수 있고, 잘못된 판단이나 망상에 의해 위험한 행동을 할 수 있기에, 철저한 보호와 감독이 필요함

 

3. 망상장애

 

       1) DSM-5 진단기준

  • 1개월 이상의 지속 기간을 가진 한 가지(혹은 그 이상) 망상이 존재한다.
  • 조현병의 진단기준 A에 맞지 않는다.

    2) 핵심특징
  • 지속적인 망상
  • 망상장애와 조현병의 증상이 유사하나 구분하는 이유가 있음
    a. 조현병에 비해 발병연령이 더 낮은 편 (30대 중후반)
    b. 두 질병의 가족력이 서로 다름
    c. 경과를 볼 때 조현병으로 다시 진단받는 경우가 드물다
    d. 환각이 빈번하지 않고, 환각은 망상과 관련된 것이다.

 

4. 조현정동장애

      1) DSM-5 진단기준

  • 조현병의 연속 기간 동안 조현병의 진단기준 A와 동시에 주요 기분(주요우울 또는 조증) 삽화가 있음
  • 평생의 유병기간 동안 주요 기분(주요우울 또는 조증) 삽화 없이 존재하는 2주 이상의 망상이나 환각이 있다.

    2) 핵심특징
  • 매우 혼란스럽고 임상가들 사이에 의견이 분분한 장애. 기분장애나 조현병의 하위유형인가 아니면 독립된 장애인가에 대한 논란이 지속됨
  • 대부분의 견해는 조현정동장애가 일종의 기분장애와 조현병이 겹쳐지는 형태라는 것임
  • 병의 전체 기간 중에 절반 이상 동안 조증 삽화나 우울 삽화를 경험해야 함. 동일한 장애기간 중 적어도 2주 동안은 기분 삽화가 없이 조현병의 진단기준 A를 충족 해야함
  • 전체 기간이 1개월 이상
  정신병적 증상 질병 지속 기간 기분 증상
조현병 두가지 유형이 요구됨 6개월 또는 그 이상 심각하지 않음
조현양상장애 두가지 유형이 요구됨 6개월 미만 심각하지 않음
조현정동장애 두가지 유형이 요구됨 1개월 또는 그 이상 총 질병기간 중 절반 이상 지속되어야 하지만 적어도 2주 동안은 없어야 함
정신병이 동반된 기분장애 한가지 유형이 요구됨 하한없음 항상 나타남
망상장애 한가지 유형이 요구됨 1개월 또는 그 이상 심각하지 않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