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 심리치료와 상담이론, 제9장 실존적 심리치료
제9장 실존적 심리치료
1. 실존적 심리치료 개요
: 실존적 심리치료는 실존주의 철학에 뿌리를 둔 심리치료
: 실존주의는 인간 존개에게 주어진 궁극적인 속성인 실존에 대한 탐구를 기본으로 하여
죽음, 자유, 고독, 무의미와 같은 존재의 궁극적인 문제를 다루는 동시에 이를 직면함으로써
삶을 적극적으로 선택하고 의미를 발견하는 진실한 삶을 살게하는 실천의 철학
: 실존적 심리치료는 내담자로 하여금 자신의 실존상황을 직면하여 인식하고 자신의 삶에대한
의미와 가치를 발견하여 실천하는 주체적인 삶을 살도록 돕는다.
2. 실존적 심리치료의 주요인물과 철학적 배경
1) 실존적 심리치료의 선구자
: 루트비히 빈스방거, 메디스 보스, 롤로 메이, 빅터 프랭클, 어빈얄롱
2) 실존치료의 철학적 배경
: 실존주의의 바탕이 되고있는 실존주의 철학은 개인의 자유, 책임, 주관성을 중요하게 여기며
각자 고유성을 지니는 개인은 자신의 행동과 운명의 주인이라는 점을 강조
3. 주요개념과 성격이론
1) 실존적 심리치료의 기본가정
① 인간의 자기인식 능력을 지닌 존재
② 인간은 실존적 불안을 지니고 살아가는 존재
- 실존상황의 주된 4가지 특성 : 죽음(유한성), 고독(분리성), 무의미(무근거성), 자유(불확실성)
③ 인간을 선택의 자유와 책임을 지는 존재
④ 개인은 그만의 주관적 세계 속에서 이해되어야 함
⑤ 인간은 삶의 의미와 목적을 추구하는 존재
2) 실존적 심리치료의 성격잉론
: 인간의 성격적 역동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갈등은 개인와 실존적 조건 간의 갈등, 즉 실존적 불안이다
① 4가지의 실존적 조건 : 죽음 / 자유와 책임 / 고독 / 무의미
② 실존적 세계의 4차원
- 물리적 차원의 자연세계
- 사회적 차원의 인간세계
- 심리적 차원의 자기세계
- 영적 차원의 초월세계
③ 진실한 인간
④ 성격의 발달적 관점
- May(1992)는 인간이 자신의 실존적 조건을 인식하고 대처해 나가는 실존적 발달모데 제시
a. 순수단계 : 자아와 자의식이 출현하기 이전인 유아기의 실존단계
b. 반항단계 : 자유를 추구하기 위해 투쟁하며 자신의 자유를 억압
c. 결정단계 : 부모로부터 벗어난 독립적인 삶을 추구하며 자신의 인생에서 무엇을 할 것인지 결정하는 단계
d. 관습단계 : 독립적인 성인으로서 자신의 삶과 행동에 대한 책임을 자각하지만 이러한 책임을 부담스럽게 여기는 실존단계
e. 창조단계 : 자신의 실존적 조건을 용기있게 직면하며 실존적인 삶을 살아가는 진실한 사람의 단계
4. 정신병리이론
1) 정신병리의 일반적 원인
: 대부분의 정신병리는 인간에게 주어진 실존적 조건을 직면하면서 느끼는 실존적 불안에 대한 방어에 기인
- 죽음/자유/고독/무의미
2) 특정한 장애의 원인
: 인간의 실존적 상황에 직면하면 불안감과 우울감 야기
5. 치료이론
1) 치료목표
: 실존치료의 핵심목표는 내담자로 하여금 자신의 실존적 조건에 대한 인식을 증가시킴으로써 삶을 주체적으로 선택하고
책임지는 진실한 인간이 되도록 돕는 것
2) 치료원리
① 내담자가 죽음이라는 실존적 상황에 직면하도록 격려
② 내담자가 자신의 삶에 대한 자유와 책임을 자각하도록 촉진
③ 치료자는 내담자로 하여금 실존적 고독을 직면하게 하면서 자신의 인간관계 양식을 점검하도록 도움
④ 치료자는 내담자로 하여금 삶의 의미를 발견하고 창조하도록 함
3) 치료기법
① 한계상황으로서의 죽음을 직면시키기
② 책임을 인식하고 수용하기
③ 자신의 소망을 자각하고 선택하기
④ 의미 발견하고 추구하기
⑤ 자유 경험하기
⑥ 꿈 작업하기
6. 실존적 심리치료의 실제
1) 치료의 진행과정
① 초기 단계에서는 치료자가 내담자의 문제를 탐색하고 관계형성
② 중기 단계에서는 치료자는 내담자가 처한 상황에 따라 실존적 조건에 직면하도록 유도하고 격려
③ 종결 단계에서는 치료자와 내담자가 치료과정에서 논의된 주요 내용들을 되돌아보며 정리
2) 치료자의 역할
7. 실존적 심리치료의 평가
: 실존치료는 가장 인간의 개별성과 독자성에 초점을 맞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