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담심리학 공부하기
-
현대 심리치료와 상담이론, 제 6장 합리적 정서행동치료상담심리학 공부하기/현대 심리치료와 상담이론 (학지사) 2020. 9. 14. 08:00
제6장 합리적 정서행동치료 1. 합리적 정서행동치료 : 앨버트 앨리스에 의해 제창된 합리적 정서행동치료는 인지적 요인의 중요성을 강조한 최초의 치료 이론 : 앨리스는 외부 자극에 대한 개인의 반응을 매개하는 신념체계, 즉 해석 방식의 중요성 강조 : ABC 이론 제시 - 선행사건(A)에 대한 신념(B)이 결과적 감정과 행동(C)을 유발한다는 설명 체계를 통해서 자극과 반응을 매개하는 인지적 요인의 중요성을 강조 :REBT의 핵심은 내담자의 비합리적 신념을 합리적으로 변화 2. Elis의 생애와 REBT의 발전과정 3. 주요 개념과 성격이론 1) REBT의 철학적 배경 2) REBT의 기본 가정 : 인간의 세 가지 심리적 기능인 인지, 정서, 행동 중 인지의 중요성 강조 3) ABC 모델 ① A : 생활환..
-
현대 심리치료와 상담이론, 제 5장 행동치료상담심리학 공부하기/현대 심리치료와 상담이론 (학지사) 2020. 9. 13. 15:38
제5장 행동치료 1. 행동치료의 개요 : 엄격한 과학정신에 근거한 행동주의 심리학의 이론체계에 바탕을 두고 있는 심리치료 : 관찰과 측정이 가능한 외현적 행동에 초점을 맞춘 실증적인 연구결과에 근거한 과학적인 설명 체계와 구체적인 치료기법 제시 2. 행동치료의 발전과정과 주요 인물 1) 행동치료의 발전과정 (Hayes, 2004) ① 1900년대 중반에 Skinner, Wolpe, Bandura 등에 의해 개발된 전통적인 행동치료 ② 1970년대 이후에 나타난 두 번째 흐름은 문제행동을 유발하는 인지적 요인의 변화에 초점을 맞추는 치료 ③ 2000년 이후 마음 챙김, 수용, 치료적 관계, 정서적 표현 등을 행동치료 방략에 유연하게 통합된 다양한 치료법 2) 행동치료의 주요 인물 ① B.F.Skinner ..
-
현대 심리치료와 상담이론, 제 4장 아들러 심리치료상담심리학 공부하기/현대 심리치료와 상담이론 (학지사) 2020. 9. 10. 00:00
제 4장 아들러 심리치료 1. 아들러 심리치료의 개요 : 아들러 심리치료는 알프레트 아들러가 제창한 개인 심리학에 근거한 심리치료 : 개인의 삶에 있어서 열등감의 보상과 공동체 의식의 중요성을 강조 : 프로이트가 인간을 생물학적이고 결정론적인 관점에서 설명한다면, 아들러는 사회심리학적이고 목적론적인 관점에서 인간 이해 : 아들러는 개인의 분리불가능성을 강조하여 자신의 이론을 개인심리학 이라고 명명 : 사회적 관심을 정신건강의 핵심적 요인으로 여김 2. 아들러의 생애와 개인 심리학의 발전 : 프로이트와 만남 --> 독자적인 이론체계의 모색 --> 사회적 참여 강조 --> 개인심리학의 보급과 사회적 활동 3. 주요개념과 성격이론 1) 개인심리학의 기본가정 ① 인간은 목적지향적인 존재 ② 인간 행동의 가장 기..
-
현대 심리치료와 상담이론, 제 3장 분석적 치료상담심리학 공부하기/현대 심리치료와 상담이론 (학지사) 2020. 9. 9. 23:37
제 3장 분석적 치료 1. 분석적 심리치료의 개요 분석적 심리치료는 칼 구스타프 융에 의해 창시된 정신역동적 심리치료로서 인간의 심층적인 무의식의 세계를 설명하는 분석심리학에 근거 2. 융의 생애와 분석심리학의 발전과정 프로이트와의 만남(6년 간의 공동작업 후 결별, why? 성욕설) --> 무의식과의 대결 --> 분석심리학의 체계화 3. 주요개념과 성격이론 1) 분석심리학의 기본 가정 : 융의 분석심리학은 체험에 근거한 심리학 이론 프로이트 ) 무의식의 실체를 성욕과 같은 미숙하고 비합리적인 것 융 ) 무의식을 개인의 삶에 방향을 제시하는 지혜로운 것 2) 분석심리학의 주요개념 : 융이 제시하는 성격이론의 핵심은 전체성 ① 의식 / 개인 무의식 / 집단 무의식 - 의식 : 개인이 유일하게 직접적으로 알..
-
현대 심리치료와 상담이론, 제 2장 정신분석 치료상담심리학 공부하기/현대 심리치료와 상담이론 (학지사) 2020. 9. 7. 23:43
제 2장 정신분석 치료 1. 정신분석 치료의 개요 정신 분석은 지그문트 프로이트(1856~1939)에 의해서 창시된 심층심리학의 이론체계이자 심리치료 방법 2. 프로이트의 생애와 정신분석의 발전과정 1) 제 1기 : 심리적 외상론의 시기(1886~1896) : 최면치료 신체적 마비를 주된 증상으로 나타내는 히스테리가 심리적 원인에 의해서 발생될 수 있다는 것과 무의식이 존재한다는 것에 대한 확신을 갖게 됨 → 히스테리의 원인이 과거에 경험한 심리적 외상(트라우마), 특히 성과 관련된 충격적 사건일 수 있다는 점 인식 2) 제 2기 : 추동 심리학의 시기(1896~1923) : 자유연상법 실재하는 사건보다는 환자의 내며적 욕망과 공상이 증상을 초래하는 주된 심리적 원인이라는 것을 깨달은 프로이트는 환자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