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현대 심리치료와 상담이론, 공헌점과 비판점
    상담심리학 공부하기/현대 심리치료와 상담이론 (학지사) 2020. 12. 12. 11:00

    1. 프로이트 <정신분석 치료>

    1) 공헌점
    - 인간의 본성에 대한 기존의 입장을 뒤엎으며 인간의 심층적인 정신세계를 이해할 수 있는 이론체계 제시
    - 체계적인 이론과 구체적인 치료방법을 겸비한 인류사 최초의 심리치료
    - 개인의 문제와 증상을 이해할 수 있는 포괄적인 설명체계를 제시한다는 점에서 큰 강점

    2) 비판점
    - 실증적인 연구에 의하여 뒷받침 되지 못하다는 점에서 비과학적 이론이라는 비판
    - 19c 말 성의 억압이 심했던 유럽사회의 일부 환자를 대상으로 발전한 것이기 때문에 인간에 대한 보편적인 이론으로 일반화하기 어려움
    - 개인 내부에 존재하는 성격구조 간의 역동적 갈등에 초점을 두었을 뿐 대인관계적 측면과 사회문화적 요인의 영향을 충분히 고려 못함
    - 정신분석 치료는 장기가 치료기간을 요할 뿐만 아니라 그 치료효과가 잘 검증되어 있지 않음

    2. 아들러 <개인심리학>

    1) 공험점
    - 사회적 관심 또는 공동체 의식은 정신건강의 중요한 요소로 강조한 점은 개인주의가 팽배한 현대사회에서 주목할만함
    - 아들러 심리치료는 비교적 간단하여 단기간에 시행될 수 있으며 교육과 예방을 중시
    - 인지치료, 실존치료, 가족치료, 현실치료 영향

    2) 비판점
    - 정신분석 이론가 - 피상적 / 인지행동 치료자 - 역동적, 내적동기 지나치게 중시

    3. 행동치료

    1) 공헌점
    - 심리치료에 대한 과학적인 접근 시도
    - 치료효과에 대한 평가와 연구를 강조

    2) 비판점
    - 치료의 영역과 범위가 제한적
    - 심리적 장애의 원인보다 증상에 초점을 맞춘 피상적인 치료
    - 내담자와의 치료적 관계를 경시
    - 자신의 삶에 대한 전반적 이해와 통찰을 보고자 하는 내담자에게 도움을 주는데는 현저한 한계 O

    4. 앨버트 앨리스 <합리적 정서행동치료>

    1) 공헌점
    - 인지적 요인의 중요성을 강조한 최초의 치료
    - REBT는 고전적인 정신분석 치료와 엄격한 행동주의가 주도하던 1950년 대에 인간의 인지에 초점을 맞추는 단기적인 치료방법을 최조로 제시
    - 행동치료가 인지적 요인으로 지평을 넓혀 현재의 인지행동치료로 발전하는 데에 핵심적 역할

    2) 비판점
    - 다양하고 복잡한 심리적 장애를 설명하기에 너무 단순
    - 이론적 주장에 대한 실증적 지지 근거가 부족
    - 적용범위에 제한
    - 내담자의 정서적 or 관계적 측면을 소홀히 여기는 경향

    5. 아론 벡 <인지치료>

    1) 공헌점
    - 개인의 내면적 경험을 과학적 연구의영역으로 다시 가져온 것
    - 심리치료를 탈 신비화

    2) 비판점
    - 이론적 관점 : 유심론적, 합리주의적이며 현대 인지심리학 연구결과와 괴리되어 있음
    - 실제적 측면 : 피상적, 단순하며 감정을 다루지 않고 치료적 관계 경시
    - 인지치료 효과를 유발하는 심리적 메커니즘이 명확하게 입증 X
    - 정신분석 치료자들은 인지치료가 내담자에게 지성화 or 합리화라는 방어기제를 제공할 뿐 근본적인 원인을 치료 못한다고 비판
    - 적용대상 한계

    6. 칼 로저스 <인간중심치료>

    1) 공헌점
    - 긍정적인 인간관에 근거한 새로운 심리치료 모델 제시
    - 인간이 실현경향성이라는 성장가능성을 지닌 긍정적 존재라는 인간관을 제시함으로써 치료자들로 하여금
    내담자에 대한 관점을 긍정적으로 변화
    - 심리치료의 신비성을 제거하려고 노력

    2) 비판점
    - 전통적인 진단과 정신장애 분류체계의 유용성을 부정함으로써 진단과 평가가 필수적인 정신건강 분야에서 의사소통의 어려움을 겪음
    - 치료효과가 그다지 크지 X (정신역동치료 < 인간중심치료 < 행동치료)

    7. <실존적 심리치료>

    1) 공헌점
    - 인간과 인생을 바라보는 관점을 긍정적으로 변화
    - 심리치료 접근법 중 가장 인간의 개별성과 독자성에 초점
    - 인간의 실존에 대한 궁극적인 관심사를 다룸으로써 개인의 한계와 가치를 철학적 관점에서 조명하는 보편적인 이해의 틀 제공

    2) 비판점
    - 치료이론이나 치료방법에 대한 체계적인 제시 부족
    - 과학적 탐구 부족
    - 적용범위 제한

    8. 프리츠 펄스 <게슈탈트 치료>

    1) 공헌점
    - 개인이 자기, 타인, 환경과 접촉하는 것이 중요함을 알게됩
    - 치료자와 내담자의 진정한 관계가 중심적인 역할을 해야함 강조
    - 현상학적 입장에서 개인의 자기 인식과 알아차림 강조
    -'지금-여기'에서의 체험을 강조할 뿐만 아니라 과거를 현재 속으로 가져와 생동감있게 다룰 수 있는 다양한 기법 제시
    - 내담자의 치료적 학습이 이루어지도록 다양한 실험방법을 창의적으로 사용

    2) 비판점
    - 이론적인 체계성과 정교함 부족 (치료기법 개발 good, 성격&발달이론 bad)
    - 치료의 근거가 되고 있는 이론이나 개념들은 실증적 검증 부족

    9. 윌리엄 글래서 <현실치료>

    1) 공헌점
    - 단기간에 효과적으로 시행
    - 무의식보다 의식의 내용을 다룰 뿐만 아니라 과거보다 현재 행동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는 점에서 매우 실제적이고 경제적인 치료법

    2) 비판점
    - 인간의 심리적 문제를 지나치게 단순하고 낙관적인 입장에서 접근
    - 과학적인 연구의 뒷받침 부족
    - 다양한 정신장애를 이해하고 설명하는 데에도 한계

Designed by Tistory.